• 2025. 4. 18.

    by. 지원제도박스

    국가장학금-종류-신청방법-썸네일

     

    최근 대학 등록금의 꾸준한 상승으로 인해 학생들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가장학금 제도를 운영 중이며, 2025년부터 저소득층과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가장학금 종류부터 신청방법, 지원 금액, 성적 기준, FAQ까지 최신 기준으로 상세하게 준비했습니다. 당신이 이 글을 읽고 나면 국가장학금 신청부터 궁금했던 모든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국가장학금 종류 및 주요 특징 

    • 국가장학금 I유형: 소득 연계형 장학금으로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소득 1~9구간까지 지원됩니다.
    • 국가장학금 II유형: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선정 기준을 정해 운영하며, 대학별 지원 금액과 기준이 다릅니다.
    • 다자녀 국가장학금: 만 25세 이하 미혼 자녀가 세 명 이상인 가정에 지원됩니다. 셋째 자녀 이상은 소득과 무관하게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특별지원 장학금: 장애 학생, 북한이탈주민, 지역 인재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추가 지원 장학금입니다.
    • 성적우수 장학금: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대학별 기준에 따라 별도로 지급됩니다.

     

     

    ✅ 국가장학금 신청 방법 및 절차

    1.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앱 접속 후 국가장학금 신청 클릭
    2. 개인 정보 입력 및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3. 소득 심사 및 서류 제출 (서류 제출 대상 여부 반드시 확인)
    4. 심사 후 장학금 지급 (1학기 3월 중순, 2학기 9월 중순부터)

    ⚠️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미완료 시 심사 진행 불가합니다.

     

     

     

    ✅ 국가장학금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 수급자, 차상위계층 증명서 (해당자)
    • 소득 증빙 서류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 소득 증빙)
    • 기타 추가 요청 서류 (한국장학재단 요청 시)

     

     

    ✅ 국가장학금 성적 기준

    •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성적 기준 미적용
    • 재학생, 복학생: 직전학기 12학점 이상, 평균 80점 이상(4.5점 만점 기준 3.2 이상)
    • 기초·차상위 계층: 평균 70점 이상
    • C학점 경고제: 1~3구간 학생에 한해 70~80점 미만 최대 2회 경고 후 지원 가능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한국장학재단 콜센터(1599-2000) 또는 대학 학생처에 문의하여 정확한 안내를 받아보세요!

     

     

    ✅ 국가장학금 지원 금액 및 주요 변경 사항

    • 기초·차상위: 등록금 전액
    • 소득 1~3구간: 최대 285만 원 (다자녀는 등록금 전액)
    • 소득 4~6구간: 최대 210만 원 (다자녀는 등록금 전액)
    • 소득 7~8구간: 최대 175만 원 (다자녀는 등록금 전액)
    • 소득 9구간(신규): 최대 50만 원 (다자녀 최대 100만 원)
    • 지원 대상자 확대: 기존 100만 명에서 약 150만 명으로 확대되었습니다.